전선로 부근이나 애자 부근(애자와 전선의 접속 부근)에 임계전압 이상이 가해지면 전선로나 애자 부근에 공기의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무슨현상 이라고 하는가? 방지대책 3가지를 쓰시오
현상 : 코로나현상
대책 :
1. 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2. 복도체 방식을 채택한다
3. 가선금구를 개량한다.

코로나 현상은 전압이 일정이상 높아지게 되면, 공기의 절연을 파괴시켜 빛,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방지대책으로는 코로나 임계전압을 높히면 된다.

delta = 상대공기밀도
m0 = 전선표면계수
m1 = 날씨에 의한 계수
r = 전선의 반지름
D = 선간거리
코로나 임계전압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이중 공기밀도, 기후와 같은 자연현상은 임의로 조정할 수 없으므로 전선의 종류, 선간거리 등으로 코로나 임계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사실 선간거리도 조정하는데는 제약이 있으므로 전선으로 임계전압을 조절해주는게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다.
1. 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 식에 의하면 전선의 반지름이 늘어나게 되면 코로나 임계전압이 낮아진다.
2. 복도체 방식을 채택 한다 -> 이것도 위와 동일한 이유이다.
3. 가선금구를 개량한다 -> 가선금구는 전선을 지지하는 금속으로 된 것들을 말한다. 금속의 품질이 좋지 않으면 날카로울 수가 있는데, 코로나 현상은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부분에서 발생하기 쉬우므로 개량된 금구를 사용하면 좋다.
아래와 같은 테슬라코일 스피커를 본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전선을 따로 빼서 뾰족한 부분에서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박스(Pull Box) 및 접속함(Junction Box)의 시설장소로 적당한 곳 3가지만 답하시오. (0) | 2024.09.29 |
---|---|
변압기의 병렬운전조건 4가지를 기술하고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에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지 간단히 서술하시오. (0) | 2024.09.21 |
가공 배전선로에서 전선 가선시 소요량은 일반적으로 선로의 고저차가 심할 때 어떻게 계산하는가? (0) | 2024.09.20 |
공장이나 일반건축물에 있어서 변전실의 위치 선정시 기능면과 경제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5가지를 쓰시오. (0) | 2024.09.18 |
발전소 전기공사 중 EDB(Electrical Duct Bank)란 무엇인가? (1) | 202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