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5

fx-570EX 복소수 극좌표 변환방법 fx-570EX 복소수 극좌표 변환방법  먼저, 계산기 가장 초기상태이다. 우측 상단에 MENU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온다.1번은 기본모드인데, SOLVE 기능이나 기타 미적분을 할 수 있다.2번은 복소수모드이다. 복소수와 관련된 기능을 사용하려면 2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2번을 눌러주겠다.  아래 표시된 부분에 i 마크가 생긴게 보일것이다.복소수 모드라는 표시이므로, 복소수 사용할때 이외에는 1번모드에서 사용하는게 더 많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3+4i라는 값을 극좌표 형식으로 바꿔보겠다.먼저 3+4i를 입력하고 =을 누른다.  ENG라고 써진거 위에 작게  i랑  복소수모드에서 ENG를 누르면 i 가 써지고, SHIFT-ENG를 누르면  전기를 하는 분들은 3+4i대신에 3+j4라는 .. 2024. 7. 21.
실효값과 평균값 표 실효값평균값파고율파형률정현파정현반파구형파반파구형파삼각파 여기서 Vm은 최대값  기본적으로 표에있는 실효값과 평균값 10개 식은 외워준다.일정 패턴이 있어서 조금만 보면 쉽게 외울 수 있다. 파고율과 파형률은 실효값과 평균값을 통해 유도할 수 있기때문에 외우지 않아도 무방하다.  나는 이렇게 외웠다. 파고율에서 고를 高(높을 고) 로 생각해서 위에 쓰고 남은 파형률은 아래쓴다.오른쪽에 위에서 부터 최대값, 실효값, 평균값 (앞글자만 최실평)을 쓰고 실효값은 파고율에서는 분모로, 파형률에서는 분자로 서로 공유한다.  그냥 외울 수 있으면 외워도 된다.나는 단어가 서로 비슷해서 잘 안외워지길래 위처럼 외웠다. 2024. 7. 18.
i1=Imsinwt와 i2=Imcoswt 두 교류 전류의 위상차는 몇 도인가? i1=Imsinwt와 i2=Imcoswt 두 교류 전류의 위상차는 몇 도인가? 즉, cos파가 sin파 보다 90도 앞선다. 2024. 7. 17.
다음과 같은 파형의 주파수는 몇[Hz]인가? 다음과 같은 파형의 주파수는 몇[Hz]인가?   377t 의 자리는 각속도 w 자리이다.즉, 2024. 7. 1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A-B 단자에서 본 합성저항은 몇[Ω]인가? 먼저 가장 오른쪽 부터 정리해준다. 1[Ω] 세개를 직렬 연결 해준다.3[Ω] 2개를 병렬 계산 해준다. 다시 저항 세개를 직렬 연결 해준다. 1+1.5+1.5 = 4[Ω]//프로그램 재시작으로 인해 저항 모형이 바뀌었다.  4[Ω] 2개를 병렬 계산 해준다. 남은 저항 세개를 직렬 연결 해준다. 3+2+3 = 8 [Ω] 2024. 7. 14.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SW1를 열었을 때 전류계는 10[A]를 지시하였다. SW1를 닫았을 때 전류계의 지시는 몇 [A]인가? 먼저 SW1이 열려있을 때의 합성 저항을 구해준다. 전체 전압을 구해준다. SW1이 닫혔을때의 합성저항을 구해준다.이때 흐르는 전류를 구해준다. 2024. 7. 13.
그림의 사다리꼴 회로에서 부하전압 E의 크기는 몇[V]인가? 그림의 사다리꼴 회로에서 부하전압 E의 크기는 몇[V]인가? 먼저 위와같은 회로를 발견하면 좌 우측 끝에서 부터 시작해야한다.해당 회로는 전압원이 왼쪽에 있으므로 오른쪽 저항부터 정리할 수 있다. 10[Ω]과 10 [Ω] 이 직렬연결되어 있는걸 알 수 있다. 하나로 합성해 주었다. 그리고 이번엔 20[Ω]과 20[Ω] 두개가 병렬로 연결되어있다. 같은 크기의 저항 두개가 병렬로 연결되면 값을 1/2로 줄이고 한개의 저항으로 바꿀 수 있다.이해가 안된다면, 일반적인 병렬공식으로 계산해도 상관없다.  위 과정들을 반복하다보면 아래 회로가 된다. 전체전류를 구해준다. 다시 가장 처음 회로로 돌아오겠다.  저 1.2[A]의 전류를 계속 분배하여 가장 끝의 10[Ω]까지 도달하도록 하면 된다. 위의 회로에서 1... 2024. 7. 12.
회로의 3[Ω]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V]는? 전원이 두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전압원은 단락, 전류원은 개방한다. 전류원 개방시 2[V]의 모든 전압은 3[Ω]에 걸리게된다.  전압원 단락시 모든 1[A]는 저항이 아닌 빈 도선을 통해 흐르게 된다.병렬에서 한 저항이 0[Ω]인 경우 모든 전류는 0[Ω]통해 흐름아래 식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R1에는  전압원으로 인해 3[V]의 전압강하가 걸리고, 전류원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저항 양단의 전압은3[V] 이다. 2024. 7. 11.
그림과 같은 RC 병렬회로의 위상각 θ는? 그림과 같은 RC 병렬회로의 위상각 θ는?위 그림을 통해 θ를 구하는 식을 하나 도출 할 수 있다.  그러나 보기를 봤을때  R과 Xc(1/wc)의 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RC병렬 회로를 하나 그리겠다. 전류 분배를 통해 식을 정리했다.반복되기에 처음을 제외하고는 tan^-1을 생략했으나, 실제로는 모두 써 줘야한다.혼동이 없기를 바란다.  즉, 답은2번이다. 2024. 7. 9.
전압 200[V] 전류 10[A] 으로 1.6[kW]의 전력을 소비하는 회로의 리액턴스[Ω]는? 전압 200[V] 전류 10[A] 으로 1.6[kW]의 전력을 소비하는 회로의 리액턴스[Ω]는? 먼저 1.6[kW] 라는 점과 리액턴스에 주목해보자. 전력은 피상전력[VA], 유효전력[W], 무효전력[VAR]로 나눌 수 있다. 피상전력은 교류의 RLC 모든 성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으로 , 유효전력+무효전력의 벡터 합으로 구할 수 있다.여기서  Pa는 피상전력, P는 유효전력, Pr는 무효전력이다.  [kW]는 유효전력 이므로 저항에 의해 실제로 소비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우선 피상전력을 먼저 구해준다.   그 다음 아래 그림을 잘 기억해두길 바란다. 이건 삼각법이라는 방법인데 직각삼각형을 임의로 그려 값을 쉽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하는 도구 정도로 기억해두자. 이 방법 외에 벡터도라는 좀 더 상위의 도.. 2024. 7. 8.
반응형